Gaussian prime number1 [C/C++] 프로젝트 오일러 #508 : \(i-1\) 진법 표시하기(수학) 이번 문제는 아직까지도 푼 사람이 100명이 넘지 않는 문제네요. 그만큼 복잡할 수 있는 문제이므로, 블로그에 자세한 풀이법을 적기는 힘드네요. 문제는 주어진 범위안의 복소수를 \(i-1\) 진법으로 표현했을 때, 1의 갯수의 총 합입니다. 복소수에 보면, 정수가 계수인 복소수들이 자연수의 소수처럼 취급될 수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이것들을 일반적으로 가우스 소수라고 합니다. 가우스 소수는 몇가지 법칙이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자연수의 소수에서 갈라지게 됩니다. 자연수의 소수 중 \(4k+3\) 형태의 소수는 자체로 가우스 소수가 됩니다. 즉, 3, 7, 11, 19, .. 등입니다. 그 외의 자연수 소수들은 모두 복소수 형태의 가우스 소수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소수 2는 \( \pm 1 \p.. 2015. 5.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