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lumn36

다이빙벨 투입..? 정말 뭐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건지.. 이종인씨가 다이빙벨 사용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말이지.. 뭐 하자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현재 논란이 일고 있는 여러가지 건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 1. 현재 방식으로는 수색이 어렵고 다이빙벨을 이용해야 한다. 이종인씨 말대로 다이빙벨이 유속과 관계없다손 치자. (이에 대한 검증은 이종인씨가 보여주어야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두번째로 유속이 빠른 곳이니 유속과 관계없다고 함부러 말할 수 없는 일일겁니다.) 다이빙벨을 내리기 위해서는 수직강하를 시켜야 합니다. 최대한 세월호 근처에 붙여주어야 하는데, 이것이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래 최대한 세월호 근처에 붙였다고 하죠. 그런데 그 거리가 10m를 넘어버리면,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가이드라인 설치하는데 그렇게 오랜시.. 2014. 4. 27.
세월호 침몰 보다 신중하게.. 참으로 안타까운 사실입니다. 세월호 침몰로 어린 학생들이 소중한 생명을 잃은 것들을 보면서, 분노보다는 인간의 나약함을 먼저 느낍니다. 세월호 침몰 사건을 다루는 언론을 보면서, 제발 신중하게 보도를 했으면 합니다. 과거 서해 페리호 사고는 최악의 선상재난으로 손꼽힙니다. 탑승객의 대부분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였죠. 그 당시 서해 페리호 사고의 선장도 언론의 뭇매를 맞고, 전국 수배령까지 내려지고 난리도 아니었죠. 혼자 도망을 갔다느니, 중국으로 밀항으로 갔다느니. 그러나 서해 페리호의 선장은 싸늘한 주검이 되어 서해 페리호 안에서 발견되었고, 그 당시 구조를 위해서 힘쓴 정황이 속속 밝혀졌습니다. 그런데, 그 유가족의 아픔은 어떻겠습니까? 오죽하면, 싸늘한 시신으로 돌아온 남편을 보고, 죽어 돌아온 .. 2014. 4. 21.
S라면 재조명에 대한 나의 생각.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S라면이 조중동 신문에 광고를 안 한다해서 S라면을 재조명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이 역시 진실이 많이 호도된 듯 해서.. 좀 그렇더군요. 제가 대학에 들어간 것은 1987년, 그 때, S라면은 대학학생들 사이에서는 악덕기업으로 손꼽혔습니다. 대학초년생이었던 전 이유를 잘 알 수 없지만.. 절대 양심적인 기업은 아니었다는 이야기입니다. N라면이 S라면을 이길려고 투서를 보낸 것이다. 그당시 N라면은 이미 라면업계에서는 1위였습니다. 지금에서야 팜유가 우지유에 비해서 문제점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당시 팜유는 분명히 비싼만큼(우지보다 비싼 가격) 담백한 맛을 내고 있었기 때문에 N라면의 투서라고만 볼 수 없습니다. N라면은 다양한 라면을 통해서 이미 S라면을 압도하고 있었고, 사건이.. 2014. 1. 28.
PPL의 간접광고 오랫동안 우리나라 TV를 보면 모자이크가 둥둥 떠다니는 부자연스러운 화면을 많이 보게 된다. 사실 선진국들의 TV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장면들이다. PPL의 간접광고가 광고 효과에서 뛰어난 효과를 보고 있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겠지만, 과연 PPL을 이용한 간접광고를 무조건 금지하는 것이 정상적인 것인가에 대해서 물어보자면, 내 의견은 PPL을 이용한 간접광고를 우리나라와 같이 규제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언론의 중립성과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서 그런지 몰라도, 사실 언론의 자유를 이야기하는 진보쪽에서도 그다지 신경쓰지 않는 듯 하다. 그러나 PPL의 간접광고를 강력하게 규제하는 것을 찬성하는 측이 있다. 바로 최근의 종합편성채널과 신문사이다. 한겨레를 비롯한 진보신문들도 PPL에 의.. 2012. 5. 2.
우리나라에서 스티브 잡스를 배출할려면? 이번 서울시장 모후보가 자신이 서울시장 20년 하면 스티브 잡스같은 사람 수십명을 배출할 수 있다고 한다. 이 글을 읽고서 정말 헛웃음이 나오더라. 스티브 잡스가 나올려면 시장이 뒷바침되어야 할텐데.. 여기서 시장은 서울시장을 지칭하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우리나라에 뿌리박힌 잘못된 생각. "그것은 꽁짜라면 양잿물도 마신다"라는 것이다. 휴대폰을 개통할 때에도, "꽁짜폰"이라는 미명하에 높은 사용료를 내고 있다. 하지만 일단 "꽁짜"란 말에 휴대폰을 바꾼다. 하드웨어야 기계를 만들기 위해서 원재료비가 존재하지만, 소프트웨어는 원재료비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패키지 가격 정도? 그렇지만 하드웨어도 마찬가지지만, 소프트웨어에도 원개발비라는 것이 있다. 원재료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어느정도 이상의 프로.. 2011. 10. 21.
프로그램 제작에서의 기술장벽 세상에는 많은 프로그래머가 있다. 과연 프로그래머에게 있어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기술은 어떻게 달라질까? 이것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서 하나의 예제를 들어볼까 한다. C 언어에서 for 루프를 이용하여 1부터 100까지 모두 다 더하는 프로그램을 짜보도록 한다. #include void main() { int i; int sum = 0; for( i = 1 ; i 2011. 9. 19.